본문 바로가기

공부 정리346

JS Falsy값과 null병합 연산자 글 작성 동기 Javascript의 falsy값이 헷갈릴 때가 있어서 이번에 정리해 보았습니다. js의 falsy 값 false 0 -0 null "" undefined NaN 0n(BigInt 사용하면 true) (0n만 false임, 1n 2n 3n...은 true) a = 0n; b = 6 console.log( a || b); // 6 a = 1n; b = 6 console.log( a || b); //1n null 병합 연산자(ES11도입) null 병합 연산자는 ??키워드를 통해 사용할 수 있고 왼쪽 값이 null 또는 undefined일 경우에만 반응 합니다. a = ""; b = 6 console.log( a || b); //6 a = ""; b = 6 console.log( a ?? b).. 2022. 2. 17.
Js 값 할당했을 때 메모리 글 작성 동기 평소에 아무 생각 없이 받아 들였던 JAVASCRIPT의 값의 할당, 재할당 시 메모리 지정 부분이 좀 생소하게 다가와서 이를 정리해보고 싶었습니다. let temp; 이렇게 값을 선언 했을때 let temp=5 값을 할당 했을 때 핵심 변수 선언에다가, 값을 할당하면 같은 메모리를 그대로 사용할줄 알았지만, 메모리를 새로 배정해주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재할당하면 메모리 또 재할당함 2022. 2. 16.
[LeetCode] Search Insert Position (javascript) 문제 Given a sorted array of distinct integers and a target value, return the index if the target is found. If not, return the index where it would be if it were inserted in order. You must write an algorithm with O(log n) runtime complexity. 문제[번역] 정렬된 숫자 와 타겟 숫자가 주어집니다. 타겟을 찾으면 해당 인덱스를 리턴하고, 못찾으면, 순서에 맞는 인덱스를 리턴하세요. O(log n) 알고리즘을 써야합니다. Example 1 Input: nums = [1,3,5,6], target = 5 Output: 2 Ex.. 2022. 2. 15.
Js 함수 vs 메서드 글 작성 동기 javascript를 공부하다보면 함수와 메서드를 구분해서 쓰는 경우를 종종 발견 했습니다. 만날때 마다 비슷하겠거니 하고 넘어갔는데, 이번 기회에 개념 정리를 확실히 하려고 글을 작성 하였습니다. 함수: function 메서드: method 함수(function) function functionName(parameters){ //내용 } 일반적으로 함수란, 특정기능을 수행하며 function 키워드를 사용합니다. 메서드(method) const object = { num: 0, methodName: function () { //내용 } } 메서드란 객체의 프로퍼티중 하나로, 쉽게 말해서 객체 안에 있는 함수를 의미 합니다. 메서드는 또한 객체안의 프로퍼티를 참조하여 조작할 수 있는 동작을.. 2022. 2. 14.
Javascript Run Environment 자바스크립트는 싱글 스레드이지만, 브라우 저상에서 동시에 많은 일을 하는듯해 보입니다. 이번에는 이러한 작동과정 원리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 작동은 4가지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습니다. 1. javascript 엔진 2. web api 3. callback queue(task queue) 4. event loop HEAP과 STACK은 자바스크립트 엔진을 의미합니다. HEAP에는 객체, 변수 같은 것들이 들어가고 STACK에는 콜백함수가 들어갑니다. 예시 예시를 통해 JAVASCRIPT RUN ENVIRONMENT를 설명해보겠습니다. default : (EVENT LOOP가 엔진, Render, Queue를 계속 순회함) 1. 이벤트 발생(WEB API) => 2. TASK QUEUE에 코드 블록 생성 .. 2022. 2. 11.
Critical Rendering Path(CRP) CRP이란 CRP은 브라우저가 HTML, CSS, JS를 변환하여 스크린으로 보여주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CRP을 최적화한다면 웹페이지의 성능을 크게 향상할 수 있다고 합니다. CRP은 그림에서 보다시피 Request/Response => loading => scripting => rendering => layout => painting으로 구분됩니다. Requset/Response : 브라우저가 서버에게 요청/응답을 보냄 loading : 브라우저가 서버에서 파일 받아옴(html, css, js) scripting : html파일을 DOM요소로, css 파일을 cssom요소로 (DOM : document object model) (DOM + CSS = CSSOM) rendering : DOM 과 CSS.. 2022. 2.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