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 정리346

[백준] 자바 17413 단어 뒤집기 2 문제 문자열 S가 주어졌을 때, 이 문자열에서 단어만 뒤집으려고 한다. 먼저, 문자열 S는 아래와과 같은 규칙을 지킨다. 알파벳 소문자('a'-'z'), 숫자('0'-'9'), 공백(' '), 특수 문자('')로만 이루어져 있다. 문자열의 시작과 끝은 공백이 아니다. ''가 문자열에 있는 경우 번갈아가면서 등장하며, ' 2021. 12. 31.
[프로그래머스] 음양 더하기 문제 어떤 정수들이 있습니다. 이 정수들의 절댓값을 차례대로 담은 정수 배열 absolutes와 이 정수들의 부호를 차례대로 담은 불리언 배열 signs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실제 정수들의 합을 구하여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입력 / 출력 absolutes signs result [4,7,12] [true,false,true] 9 [1,2,3] [false,false,true] 0 접근 배열 사이즈를 이용해, for문을 쓰면 매우 간단하게 해결 가능합니다. 코드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absolutes, boolean[] signs) { int answer = 0; for(int i=0; i 2021. 12. 30.
[데이터베이스개론] 9장 연습문제 [1] 어떤 릴레이션에 속한 모든 속성이 원자 값만을 가지며, 기본키가 아닌 속성 모두가 기본키에 완전 함수 종속이지만 이행적 함수 종속이 나타나면 어떤 정규형에 해당하는가? 제 1정규형 제 2정규형 제 3정규형 보이스/코드 정규형 [정답]2 이행적 함수종속을 완료하면 제 3정규형이 됩니다. 해당 조건을 만족 못했으므로 제 2정규형 입니다. [2] 정규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논리적 데이터베이스 설계 방법 중 하나다. 좋은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생성하고 불필요한 데이터의 중복을 방지하는 데 목적이 있따. 정규형에는 제 1정규형, 제2정규형, 제3정규형, 보이스/코드 정규형, 제4정규형, 제5정규형등이 있다. 속성들 간의 종속 관계를 분석하여 잘못 설계된 릴레이션들을 결합하면서 문제를 해결한다.. 2021. 12. 29.
[데이터베이스개론] 8장 연습문제 [제목]다음은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하기 위한 5단계다. 순서대로 나열하시오. A 구현 B 논리적 설계 C 개념적 설계 D 요구 사항 분석 E 물리적 설계 [정답] D - C - B - E - A [제목]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할 때 고려할 사항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데이터 무결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한다. 데이터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한다. 데이터 보안성을 유지할 수 있또록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한다. 데이터 종속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한다. [정답]4 종속성을 유지하면 안됩니다. [제목]데이터베이스 설계 과정 중 다움 설명과 관련 있는 것은? 데이터베이스를 저장 장치에 실제로 저장하기 위한 저장 레코드나 인덱스 구조 등을 설계하고 저장 레코드 집중의 .. 2021. 12. 28.
[LeetCode] Valid Parentheses (javascript) 문제 Given a string s containing just the characters '(', ')', '{', '}', '[' and ']', determine if the input string is valid. An input string is valid if: Open brackets must be closed by the same type of brackets. Open brackets must be closed in the correct order. 문제[번역] '(', ')', '{', '}', '[' ,']'를 포함한 문자열이 주어집니다. 문자열이 유효한지 평가하세요. 1. 열린괄호는 같은괄호로 닫혀야함. 2. 열린 괄호는 순서대로 닫혀야함. Example 1 Input: s = "(.. 2021. 12. 27.
[백준] 자바 9020 골드바흐의 추측 문제 1보다 큰 자연수 중에서 1과 자기 자신을 제외한 약수가 없는 자연수를 소수라고 한다. 예를 들어, 5는 1과 5를 제외한 약수가 없기 때문에 소수이다. 하지만, 6은 6 = 2 × 3 이기 때문에 소수가 아니다. 골드바흐의 추측은 유명한 정수론의 미해결 문제로, 2보다 큰 모든 짝수는 두 소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수를 골드바흐 수라고 한다. 또, 짝수를 두 소수의 합으로 나타내는 표현을 그 수의 골드바흐 파티션이라고 한다. 예를 들면, 4 = 2 + 2, 6 = 3 + 3, 8 = 3 + 5, 10 = 5 + 5, 12 = 5 + 7, 14 = 3 + 11, 14 = 7 + 7이다. 10000보다 작거나 같은 모든 짝수 n에 대한 골드바흐 파티션은 존재한다. 2보다 큰 짝수.. 2021. 12. 24.
반응형